1. 우유가 좋은 이유
우유는 암컷 포유류가 갓 태어난 새끼에게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분비하는 흰색의 불투명한 액체입니다. 어떤 의미에서 이것은 임신기간 중에 만들어진 엄마의 피로 된 것이고, 인간 발달과 의학의 초기 학생들은 종종 이 두 체액이 상호 연관되어 있다고 말했습니다. 우유는 계란처럼 동물의 초기 생애 동안 유지되는 유일한 식품이기 때문에 매우 귀중한 식품입니다. 거의 모든 우유에는 물, 단백질, 지방, 유당 또는 다양한 비타민 및 미네랄과 같은 동일한 물질이 포함되어 있지만 이러한 물질의 상대적 비율은 종마다 크게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성장이 빠른 동물에게는 단백질과 무기질 함량이 높은 우유를 먹이고, 두꺼운 절연 지방층을 형성해야 하는 동물(특히 물개, 바다사자, 바다코끼리)에게는 고지방, 저당류를 또는 무가당 우유를 먹입니다. 송아지는 출생 후 50일 만에 체중이 두 배가 되고, 인간 유아는 100일 만에 체중이 두 배가 되며, 젖소의 우유에는 모유보다 약 3배의 단백질과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인간 우유와 젖소 우유의 다른 두 가지 차이점은 언급할 가치가 있습니다. 모유는 단백질이 적고 단백질이 위산에서 응고될 가능성이 작기 때문에 더 쉽게 소화됩니다. 균질화, 저온 살균 및 조리는 우유 단백질이 평소보다 더 약하고 느슨한 우유 응고물을 형성하게 하여 우유의 소화율을 증가시킵니다. 둘째, 모유에는 락토바실루스 비피더스의 성장을 촉진하는 물질인 소위 "비피더스 인자"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무해한 박테리아는 유아의 소화관에 살며 다른 유해한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되고 노폐물로 젖산을 배설합니다. 이 성장 인자는 엄마의 항체와 함께 아기가 자궁 안에서 보호되고 있는 상태에서 벗어나 소아마비, 살모넬라균 및 대장균과 같은 병원체와 같은 세균으로 가득 찬 환경의 삶으로 전환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우유를 소화 못하는 이유, 유당불내증
동물의 세계에서는 인간만이 유일하게 단단한 음식을 먹기 시작한 후부터 모든 종류의 우유를 마실 수 있습니다. 사실 유아기 이후에 우유를 마시는 사람은 인간종에서 예외입니다. 이것은 단순히 전통이나 선택의 문제가 아닙니다. 우유 칼로리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유당은 이당류입니다. 각 분자는 하나의 포도당과 하나의 갈락토스 단위로 구성됩니다. 다른 식품에서는 발견되지 않습니다. 사실, 현재 포유동물의 젖가슴 이외의 유일한 알려진 유당 공급원은 개나리꽃과 극소량만 생산하는 소수의 열대 관목입니다. 이제 일반 설탕(자당)을 포함한 모든 다중 단위의 설탕은 신체에 흡수되어 사용되기 전에 소장에서 소화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야 합니다. 유당을 분해하는 효소인 락타아제는 출생 직후 사람의 장에서 최대 수치에 도달한 다음 1.5세에서 세에서 3.5세 사이에 서서히 최소치로 감소합니다. 이러한 추세는 매우 명확합니다.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효소를 생산하는 것은 신체의 자원 낭비입니다. 대부분의 포유류는 일단 젖을 뗀 후에는 젖당을 다시 만들지 않으며 이는 축산업이 시작되기 전까지는 인간에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러나 유당분해효소가 없는 상태에서 상당량의 유당을 섭취하게 되면 당이 흡수되지 않은 상태로 소장을 통과하여 온전한 상태로 결장에 도달합니다. 일부 결장 박테리아는 유당을 발효시켜 그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가스를 생성하여 실제 통증을 유발합니다. 결장에 설탕이 존재하면 수분 저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팽창감이나 설사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1960년대 후반이 되어서야 서양 의학은 성인 락타아제 결핍증(유당을 소화할 수 없는 상태)이 예외가 아니라 규칙이며 실제로는 결핍이 아닌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대부분의 서양인, 특히 북유럽 배경의 사람들은 성인이 되어서도 여전히 유당을 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현상을 깨닫는 데까지 이렇게 오래 걸렸습니다. 그들과 일부 아프리카 유목민 부족의 락타아제 수준은 세계 인구의 나머지 부분만큼 빠르게 떨어지지 않습니다. 모든 사람이 우유를 소화할 수 있다고 가정하는 소위 "민족 쇼비니즘"은 잉여 분유를 기근 지역으로 운송하는 것과 같은 정책으로 이어졌습니다. 이러한 태도는 연구자들이 10% 가까이가 백인이며 흑인 미국인의 약 70%가 유당 불내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은 후에야 극복되었습니다. 수년간의 연구에 따르면 지구상의 소수의 성인만이 유당 불내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수만이 유제품을 먹을 수 있다는 말은 아닙니다. 대부분의 유당 불내증 성인이라도 하루에 약 500mL의 우유를 섭취할 수 있으며 심각한 증상 없이 귀중한 양의 여러 영양소를 제공합니다. (우유 단백질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에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유당 불내증은 알레르기가 아닙니다) 치즈, 요구르트 및 기타 배양된 식품에는 발효 박테리아가 유당을 연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사실상 유당이 없습니다. 그러나 유제품은 우유 자체에 낮은 내성이 있는 인구에서는 발전할 가능성이 없었을 것입니다. 지속적인 락타아제 생산의 유전적 특성은 칼슘 섭취 증가와 해당 미네랄의 흡수 개선(소장에서 락토스의 효과 중 하나)의 이점을 제공했기 때문에 북유럽인에서 발생했다고 제안되었습니다. 어둡고 추운 환경에서는 피부에서 비타민 D가 거의 생성되지 않습니다. 물론 우유를 마실 수 있는 능력은 단순히 사람들이 먹고살 수 있는 음식의 범위를 넓힐 뿐입니다. 어쨌든 유당 내증은 아마도 아주 최근의 적응일 것입니다. 모유는 수백만 년 동안 인류가 마셔왔지만 양, 염소, 소의 우유는 수천 년 동안 일뿐이기 때문입니다.
'식품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 첨가물, 왜 먹게 되었나 (0) | 2023.07.08 |
---|---|
인간의 첫 번째 음식 (0) | 2023.07.07 |
식품 첨가물에 대하여 (0) | 2023.07.07 |
후각, 맛은 입이 아니라 코가 먼저 본다고? (0) | 2023.07.07 |
식품과학의 개요 (0) | 2023.07.07 |